1. 기간 : 2.1-2.4
2. 연수명 : 전통문화(궁궐기행) 연수 (한국청소년연맹 주관)
3. 참가인원 : 40명(2반)
4. 연수장소 : 경기도 광명시 하안동 근로청소년복지관
5. 관람장소 : 종묘, 창경궁, 창덕궁, 경복궁, 경운궁
6. 특별강의 : 서울시 문화재 전문위원 이연노
[특별 강의 내용]
Ⅰ. 궁궐의 이해와 조선 궁궐 : 2시간
1. 궁궐의 의미
宮闕 = 宮(宮殿:왕이나 황제가 전용하는 건축군)+闕(望樓)
殿, 堂, 閤, 閣, 齋, 軒, 樓, 亭 +臺, 双闕, 兩觀
2. 궁궐의 입지
풍수지리 : 바람을 막고 물을 얻는다(藏風得水)
흉한 것은 피하고 복을 얻는다.(避凶發福)
(1) 看龍法 - 용을 살핀다
:산의 용맥이 얼마나 좋은지 살핀다.
祖山(백두산)-主山(백악)-後 玄武, 明堂, 穴, 左 靑龍, 右 白虎 前 朱雀(案山)
(2) 藏風法 - 바람을 자 끌여 들여 간수하자는 의미로 기를 받고 밖으로 흩어짐을 막는다.
후현무(삼각산) 주산(백악, 북한산) 좌청룡(용봉-낙산, 맥이 약함,
동대문을 興仁之門으로 표기, 甕城 보완) 우백호(인왕산 맥 거대)
안산(목멱산(남산)은 불의 산, 남대문을 崇禮門 가로글씨로 보완)
전주작(관악산)
(3) 得水法 - 물이 있는 곳에 생기가 있다.
한양의 득수는 청계천이다.
(4) 定穴法 - 명당 중 가장 중요한 명당(혈)자리를 찾는 것
(5) 坐向論 - 背山臨水
패찰(나침반)을 놓고 뒤를 좌 앞을 향으로 읽는다.
예) 子坐午向 - 정남향
壬坐丙向 - 약간 남동향 이 세 방향이 주로 南向
癸坐丁向 - 약간 남서향
한양은 壬坐丙向 방향으로 정해짐
3. 궁궐의 구성원리 : 중국의 ‘周禮’에 의함
▪ 周禮 - 주나라의 관직명과 직무범위 규정
:6官 (천관,지관,춘관,하관,추관,동관)
宮城 - 9경 9위법 格子形 토지 구분
左朝 右社, 面朝 後市
南北 中心線 - 일직선 (中經道 중심 左右 배치)
宮殿區 - 外朝, 宗廟(좌) 社稷(우)
宮庭區 - 官署區 9
(남) ①王城 正南門-②官署-③宗廟(좌) 社稷(우)-④皐(고)門-⑤外朝-⑥庫門-⑦薙(치)門-⑧應門(治朝門)-⑨治朝-
⑩路門(寢宮區 總門)-⑪燕朝-⑫宮城 北門-⑬閭里-⑭市-⑮王城 正北門 (북)
▪道路 : 經(남북) 緯(동서) 環塗(성곽 안을 두른 도로) 野塗 (성곽 밖의 도로) 軌(수레 바퀴의 폭(8척)
경위도 너비 : 9궤(약18m) 환도 7궤 야도 5궤
남자 오른쪽, 수례는 중앙, 여자는 왼쪽 통행
1개의 道는 3개의 塗로 구성
▪宮城 : 宮庭區 宮城區 朝(정치 시행) 寢(일상 거처) 후비궁,
궁정생활시설, 궁 주둔 관부 등
宮殿區 - 外朝, 宗廟區, 社稷區
▪三朝 外朝 : 의식(朝禮, 朝賀 賀禮), 소송, 법령 공포
治朝 : 신하 접견, 정무, 小祭祀 등
燕朝 : 冊命, 신하 접견, 정사 논의
▪廟社 : 左朝 右社
▪ 宗廟 : 5廟 : 始祖(大廟), 高祖, 曾祖, 祖, 父
7廟 : 祖廟(主王室 始祖묘) 小廟(高祖이하 묘) 祧(조)(먼 조상 神主)
同堂異室制
▪ 社稷 : 社 - 土神에 祭祀,
왕 - 백성(大社) 자신(王社) 戒社
諸侯 - 백성(國社),자신(侯社)
大夫이하 - 백성(治社)
稷 - 穀食 神에게 제사
조선 : 동 社檀, 서 稷檀
▪市里 : 市 - 시장, 궁성 뒤에 배치
里 - 사람들이 사는 곳, 閭里, 方
閭 - 25호
- 四面에 담장, 간선도로변에 里門-港道와 연결(수레 다님)
중앙에 社壇
4. 조선의 궁궐
▪ 5대 궁궐:정궁(법궁)-경복궁
이궁-창덕궁,창경궁,경덕궁(경희궁),경운궁(덕수궁)
三門 三朝
예} 경복궁의 경우
광화문(庫門)-홍화문(雉門)-금천교(하천)-근정문(應門)-근정전, 사정전(治朝) -향오문(路門)- 강녕전, 등(燕朝)
▪ 궁전의 용도
․ 政殿 - 조례 조하 하례
․ 便殿 - 상참, 정사 논의, 경연 , 점이적 공간
․ 寢殿 - 왕과 왕비의 침소, 중앙 대청마루 중심 3방향 房(左 왕, 右왕비, 中지밀상궁), 용마루 없음(하늘의 기운을 받기 위함, 용위에 용이 없다)
東宮 -세자궁, 해뜨는 방향, 양명한 기운,
大妃殿 - 침전 동쪽 둠, 문안인사)
後苑 - 禁苑, 왕과 왕실 가족들의 쉼터, 연못, 정자, 정원
선원전(璿源殿) - 역대 왕들의 초상화 보관, 초상화 한국동란중 소실
경복궁은 일직선상의 궁궐체계 2개의 침전을 갖고 있으며
창덕궁은 중앙을 강조하는 주축선이 없음, 자연지세 활용, 2개의 편전인 반면, 창경궁은 2문 체계이고, 경운궁은 편전이 없다
5. 조선 궁궐사
경복궁 : 태종 4년 1391 창건, 임진왜란 전소, 고종 재건
창덕궁 : 태종 5년 1405 건축 태종-선조 이궁, 광해, 인조 정궁
창경궁 : 세종 1년 1418 선왕 수강궁으로 창건, 성종 14년 완공
경운궁 : 임란후 월산대군 집(정릉동 행궁), 광해 3년 1611 경운궁 개칭, 1904 고종 덕수궁이라 칭함
경덕궁(경희궁) : 광해 9년(1620) 창건, 영조 경희궁으로 개칭
인경궁: 광해 15년 창건 - 헐어서 창덕궁 수리
◉ 궁궐의 구조
◦ 外殿 - 경복궁 勤政殿, 창덕궁 仁政殿, 창경궁 明政殿, 경운궁
中和殿- 임금즉위식, 세자책봉식, 왕대비 및 왕족의 환갑연, 세자 혼례식,
변방 승전 장군의 위로잔치, 외국 사신맞이, 환영식 등 回廊과 品階石 비치
․ 便殿 - 법전 뒤에 있음, 정책논의 집무실 경복궁의 思政殿, 창덕궁의 熙政堂, 창경궁의 崇文堂
◦ 內殿 - 寢殿, 쉬는 곳 경복궁 康寧殿(왕) 交泰殿(왕비) 창덕궁
熙政堂(왕), 大造殿(왕비), 창경궁의 景春殿(왕) 通明殿(왕비)
o 東宮 - 동궁, 春宮, 내전의 동편에 위치
o 생활주거 공간, - 왕실가족, 內侍, 宮女, 奴僕, 軍兵 등이 생활함
o 後苑, - 정자 연못 경복궁 慶會樓, 香遠亭, 창덕궁의 後苑
o 闕內客舍 -정규 관리, 군사기구, 왕실 시중과 궁궐관리 공간
- 賓廳, 政廳, 大廳, 承政院, 弘文館, 禮文館, 春秋館 등,
o 闕外客舍 - 국가의 基幹 官署, 궁권 정문앞 인접한 곳에 설치
- 議政府, 六曹, 司憲府, 漢城府, 등
◎ 궁중생활과 궁내 인적 구성
▪ 왕과 왕비,그 가족(大妃, 世子, 世孫), 宮女, 內侍
세자를 제외한 왕자는 10살을 넘으면 궁궐 밖 저택으로 독립 (보모 상궁과 몇 명의 궁녀)
▪4-5살의 견습궁녀부터 칠팔십 살의 원로상궁
▪尙宮 - 궁녀가 궁궐에 들어온지 30년 된 사람
▪奈人 - 궁녀로 들어온지 15년이 된 사람 .
▪각심이 - 상궁 처소 가정부
▪房子 - 궁궐 남자 잡역부, 출퇴근
▪무수리 - 궁궐 잡일 여자 잡역부, 물 깃는 사람
▪內侍 - 음식 감독, 어명 전달, 문지기, 청소, 去勢
▪왕실 이동식 좌변기(煤灰틀) 사용 - 재위에 용변, 왕의 건강 확인 왕실 가족 이외는 화장실 사용
침전에 용이 깃드는 곳에 용을 올릴 수 없다(용마루 없음)
▪錦川과 다리 : 명당수에 洗心하고 들어가라는 뜻
경복궁의 영제교, 창덕궁의 금천교, 창경궁의 옥천교, 경운궁의 금천교
▪건물의 신분
殿 : 가장 높은 격의 건물 - 왕, 왕비, 대비, 공간
堂 : 다음 단계 건물, 일상적 활동
閤, 閣 - 殿이나 堂의 부속 건물
齋, 軒 - 왕실 가족이나 궁내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의 기거 공간
樓 - 바닥이 지면에서 사람 한길 높은 마루로 된 집, 1층 집은 閣, 2층 집은 樓
亭 - 亭子, 연못이나 개울가에 휴식 연회를 위해 지은 작은 집
◉ 궁궐 내에 있는 신기한 물건
․부시 : 건물에 쳐진 철망- 새가 들어오지 못하게 함, 새들로 인한 구렁이 침범 방지, 피뢰침 모양 대치
․차일 고리 : 차일 치는 고리
․정 - 법전 어귀에 설치, 다리 셋 귀가 둘 달린 청동 솥, 왕권의 상징물
․박석 - 눈이 부시지 않도록 난 반사, 미끄럼 방지, 기울기를 주어 배수 처리
․품계석 - 18 품계 1-3품 정, 종 표시, 4-9품 정만 표기, 12개 품계석, 동쪽에 문관, 서쪽에 무관
․잡상 - 지붕 처마마루에 설치, 삼장법사와 손오공 무리, 악귀를 막기 위한 자리, 경회루 11개로 최고 많음, 근정전 9개
․굴뚝 - 숯으로 온돌 가열 그을음이 없음, 가장 아름다운 굴뚝, 아미산 굴뚝 국가보물로 지정
․드므 - 법전 월대 위에 설치, 물이 담겨져 소방수, 불귀신이 자기 얼굴을 비춰보고 놀라 도망가게 함
․일월오악도 - 법전안 용상 뒤에 있는 병풍 그림, 해와 달, 다섯 봉우리, 소나무, 폭포, 푸른 물결 구성, 왕의 표상
Ⅱ. 한국의 목조 건축 : 2시간
1. 한옥의 구조 : 木造 架構式(기둥, 도리, 보, 서까래, 지붕)
◉ 평면 : 간(기둥 사이 거리, 정면 도리간, 측면 보간)
3간 : 8개 기둥, 가장 작은 집, 부엌 안방 사랑방 각 1간
4간 : 3간 + 대청마루 1간
툇간 - 작은 간, 절반으로 셈
◉ 기단 - 건물은 3단 구분 기단(하분)-중분-지붕(상분)
삼재 사상 - 땅, 사람, 하늘
망깨로 고르고 단단하게 다짐, 건물에 습기 침범 제거
월대 - 기단의 상단, 의식 공간
▪ 적석식 기단 - 적석
▪ 가구식 기단 - 짜서 맞춤식
예) 탑 : 하대 - 지대석, 우수석(모서리) 탱주석(중간) 면석, 하대갑석
상대 - 우주석, 탱주석, 상대갑석
외벌대 : 기단 1단,
두벌대 : 기단 2단,
세벌대 : 기단 3단
가구식 대표적인 기단 - 불국사
◉ 초석 : 막돌 초석 - 고려때 처음 등장 , 그랭이질,
그래자(먹물컴파스) 사용 - 막돌초석과 기둥
밑면 모양 동일하게 가공
다듬은 돌 초석 - 고대 주로 사용
◉ 기둥 : ▯ 圓柱 : 궁궐, 사찰 관아 권위있는 건축에 사용, 값 비쌈.
▪ 배흘림 기둥(양끝은 약간 가늘고 가운데가 볼록함),
▪ 민흘림 기둥(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두꺼운 기둥),
▪ 원통형 기둥
▯ 方柱 : 각기둥, 일반 주택, 값 쌈.
▯ 자연기둥 : 생긴 그대로 기둥
- 안성 청룡사 대웅전, 동화사 대웅전, 고창 용오정사
▯ 기둥의 위치에 따른 기둥
▪ 隅柱 - 갓 기둥, - 모서리에 선 기둥
▪ 平柱 - 보통 - 가운데에 선 기둥
▪ 高柱 - 보통보다 긴 기둥 - 중앙에 평주보다 긴 기둥
▪ 귀솟음 - 추녀쪽으로 가면서 기둥이 조금씩 길어짐. 추녀선의 곡선미 표현
▪ 귀쏠림 - 기둥을 안쪽으로 약간 기울어지게 하는 기법
◉ 架構
◈ 樑(도리)
3량 : 기둥2 대들보1 대공1 도리 3 : 일반 주택
4량 : 기둥3 대들보1 퇴보1 대공1 도리4 (고주 4량)
기둥2 대들보1 종보1 동자주2 도리4 (평 4량)
5량 : 기둥2 대들보1 종보1 동자주2 대공1 도리5 (무고주 5량)
기둥3 대들보1 종보1 대공1 동자주1 도리5 (1고주 5량)
기둥4 대들보2 종보1 대공1 도리5 (2고주 5량)
7량 : 기둥4 대들보1 퇴보2 동자주2 대공1 도리7(2고주 7량)
기둥3 대들보2 퇴보1 종보1 동자주3 대공1 도리7(1고주 7량)
◈ 대들보(大樑)
종보 - 제일 위에 걸리는 보,
중보 - 중간에 걸리는 보
퇴보 - 대들보보다 한단 낮게 걸린 보
衝樑(충량) - 한쪽은 기둥에 다른 쪽은 보에 얹은 보, 팔작지붕 우진각 지붕에 사용
牛尾樑 - 도리와 도리 사이를 연결하는 보(반드시 곡재 사용),
귓보 - 모퉁이에 사용된 보, 팔작, 우진각 지붕 모퉁이에 사용
맞보
◈ 도리 - 건물의 종대로 올리는 지붕 바로 아래에 있는 긴 목재
주심도리 - 기둥위의 도리
외목도리 - 주심의 바깥쪽 도리, 공포 건물에 사용(익공제외)
내목도리 - 주심의 안쪽 공포에 얹는 도리, 다포계 건물 사용
중도리 - 주심도리와 종도리 사이의 도리, 장연(긴 서까래),단연(짧은 서까래)이 겹치는 곳
종도리 - 최상부 용마루 받침재, 상량문 기록
하중도리 - 중도리 중 아래쪽 중도리
상중도리 - 중도리 중 위쪽 중도리
◈ 대공 - 종도리를 받치는 짧은 기둥
동자대공 - 동자모양
접시대공 - 접시모양
화반대공 - 꽃접시 모양
판대공 - 판 모양
파련대공
포대공
ㅅ자대공
◈ 장혀 - 단장혀, 통장혀
◈ 서까래
短椽
中椽
長椽 - 긴 서까래 (추녀마루)
◈ 지붕
▪팔작 지붕 - 4방향 지붕, 합각이 만들어져 있는 지붕,
처마끝이 솟음
모서리 서까래 처리가 고난이도 기술 요함, 처마부채살
모양 (扇子 서까래), 한국 건축 선의 미,
일반 가옥건축에 가장 많음
▪우진각 지붕 - 4방향 지붕, 합각이 구성되지 않고 4면 모두 지붕,
중국 건축에 많으나 우리나라는 성문 건축에 쓰임
▪맞배 지붕 - 양방향 지붕, 처마끝이 치켜 올라감, 측면 노출, 풍판을 달아 측면 보호, 주로 사당 건물 사용
▪모임 지붕 - 4각, 6각, 8각 지붕 - 정자나 누각에 사용
(지붕의 명칭)
치미(치두) 용마루 치미(치두)
내린마루 내린마루
잡상 용두 기와(암, 수) 용두 잡상
추녀마루 추녀마루
귀면 귀면
내림새(암기와 끝단) 와 막새(숫기와 끝단)
◈ 처마
▪부연 : 서까래 사이 작은 각재
▪홑처마
▪겹처마 - 공포 사용 (일반 주택에 사용금지)
▪잡상순서 - 삼장법사, 손오공, 저팔계, 사오정, 등 동물형상
◈ 천장
▪연등 천장 - 노출된 천장, 조각, 단청 많음, 안이 보이므로 꾸밈이 많음,
고가 비용, 재질 양호 가능, 고려시대 건축물, 조선조 여염집 대청마루 천장
▪우물천장 - 井자 천장 반자틀을 만들고 반자를 매달아 만든 천장,
고급 건축물에 많음,
▪층단천장 - 우물천장의 높이를 달리하여 꾸민 천장
▪보개천장 - 우물천장 높은 곳 일부를 파내어 봉황,용 모빌을 걸어둔 천장
◈ 건물 바닥
塼(검게 구운 토기 바닥돌) - 정전, 편전에 주로 사용
마루 - 편전, 침전에 사용, 정자 등
온돌 - 침전 사용
흙
◈ 수장 (벽체와 창호)
▪ 壁體 : 中枋-지주대 세우기-대나무나 삼대 엮기-새끼로 감기-흙(여물)바르기-모래 섞어 바르기-회 바르기
▪窓戶 : 기하학 무늬, 꽃무늬 다양한 문살, 사방무늬, 자연무늬
◈ 栱包 - 기둥 위를 받쳐 꾸며서 서까래를 밖으로 더 빼내게 하고 건물을 더 높혀 아름답게 만든 구조물
기둥 - 주두 - 소로 - 첨차 - 살미 - 소로로 구성
건물 높이를 높혀 주고 처마를 길게 나오게 함
조선시대 일반주택 사용 금지
•柱心包 건축 - 기둥 상부에만 공포로 구성된 건축 ,
예)부석사 무량수전,봉정사 극락전, 수덕사 대웅전, 강릉 객사문 무위사 극락전, 도갑사 해탈문, 고산사 대웅보전 등
•多包 건축 - 기둥상부는 물론 기둥사이에도 공포가 구성된 건축 호화로움, 대웅전에 많음
예)심원사 보광전, 성불사 웅진전, 숭례문, 봉정사 대웅전, 개심사 대웅보전
•翼工 건축 - 주심포 건축과 유사하나 출목이 없는 건축, 조각이 많음. 주건물 보다 부속건물에 많음, 조선초기 건축
◈ 출목 - 공포는 외목도리를 받치기 위한 구조물, 조각이 간단함 출목이란 용어로 표현
1출목은 1자 더 사용, 2출목은 2자, 3출목은 3자 외부로 돌출
▪외4 출목 건물 - 무량사 극락전, 논산 쌍계사 대웅전
Ⅲ. 궁궐 현장 답사
2.2 宗廟 (세계문화유산) - 고궁길라잡이 장성재 안내
正門 (이름없음, 오삽문, 3도(갈,녹,황토색) 단청, 귀신은 중앙문, 중앙통로 사용, 좌측 왕 입장) - 望廟樓 -恭愍王 神堂(공민왕업적,노국공주 영정, 준마도 )-祭器倉庫-御肅室(목욕재계, 드므 1개) - 正殿 東門(현판없음-정문은 귀신이 다니고 사람은 측면문 사용) - 천막단(음식준비하여 차려두는곳)-典祀廳 (제사음식 만듬) - 祭井(수맥 끊김) - 東門-正殿-목재, 뒤는 벽돌 담벽,19간,3간씩 확장 (왕 중에 燕山君, 光海君 位牌는 없음) 단일 건물로 가장 길다. 正殿앞 月臺 넓음) - 功臣殿(전면 하단, 공신 명단 있음) - 西門(樂士 통행) - 永寧殿 (가운데에 태조4대 조상 위패와 양옆으로 왕, 왕비 위패)
昌慶宮 弘化門(2층 우진각 지붕형) - 玉川橋( 금천, 자연천)-明政門 -明政殿 (조정 박석, 품계석) 鳳凰새 踏道 - 용상, 일월오봉병풍, 전돌 바닥 문살(꽃 무늬) 政殿, 둥근 기둥 - 文政殿(사각기둥, 便殿, 마루) -崇 文堂 (온돌, 높은 기단, 便殿) - 賓陽門(명정전 북쪽 후문) - 涵仁亭(2단 마루, 급제 칭송) -歡慶殿 (성종 15년 건립, 중종 승하 등) - 景春殿 (순조어필 현판, 성종 寢殿, 헌종 탄생, 소혜옹주, 인헌왕후 사망) - 通明殿(4각기둥, 용마루 없음, 月臺, 들쇠, 마루)- 연못 연꽃 조각, 연꽃대, 왕비 인사권과 급료지급권) 列泉(무수리, 영조 건립), 굴뚝 -養和堂 (침전) - 迎春軒(正祖 거처), 集福軒(사도세자 탄생) - 藏書閣터(옛 3층 건물, 6.25 소실) - 風旗臺(풍향계) - 仰釜日구(해시계 세로줄 시간, 15분 가로줄 시기) - 수석 - 敬慕宮 옛터(서울의대병원) - 春塘池(옛 왕실 논자리) 원앙새 떼, 1909 창경궁에서 창경원으로 일제가 변경
2.2 昌德宮 관광 - 세계문화유산, 창덕궁 전속해설사 해설 - 고정시간
입장. 13 왕 근무, 자연지형에 맞춰 건립 (중심선이 일직선이 아님), 가장 아름다운 궁
敦化門(1609 건립 창덕궁 정문, 우진각지붕, 2층)- 錦川橋(중심선이 직각으로 꺾임)-進善門(2門)-肅章門(내원으로 들어가는 문)-仁政門(인정전 출입문, 90도로 꺾여 들어감)-行間路-朝廷(品階石, 薄石)-踏道(봉황무늬)-月臺 2층 - 仁政殿 (단청, 용상, 천정 봉황, 꽃 문살, 塼돌 바닥) - 宣政門-宣政殿 (便殿, 靑瓦, 인정전과 바로 붙어있음)-御車庫(御輦, 자동차 3대, 平交子, 軺軒(바퀴 1개 달린 교자)- 樂善齋(마지막 왕세자 이 구 거처) - 熙政堂(편전, 현관돌출(자동차 로비) - 수랏간 - 옛 의자, 대형 벽화 2점(금강산도) 비치 - 宣平門 - 大造殿(寢殿, 지붕 용마루 없음, 드므 4개, 왕, 왕비 침실, 나전칠기 가구 비치) - 內醫院 (喜雨樓, 400년 梅花) - 창경궁 通門 - 後苑 - 芙蓉池 - 芙蓉亭(+자 지붕) - 魚水門(종서) - 宙合樓(2층 樓閣, 奎章閣) - 暎花堂 - 숲속 풍류길 - 연못 - 관광정 - 金馬門 -不老門 - 演慶堂(궁내 4대부집, 단청없음, 99간 집, 왕이 자주 출입, 長樂門(남),유仁門(여)-사랑채(珠簾詩, 6간)-善香齋(書齋, 西向, 銅版지붕 遮陽막,2중 지붕 구조)-濃소亭(높은 정자)-祠堂-안채) - 숲속길-향나무(750년, 천연기념물 194호)
2.3 오전 - 경복궁 관람 - 장대진 길라잡이
景福宮 (약900간 건물이 지금은 1000간 정도만 남음光化門(약간 틀어짐, 석조문이 아님, 재건축요, 박정희 현판글씨, 4가지 위치, 재질, 현판, 철근콘크리트 문제- 일본이 남산 신궁과 신사를 향하도록 1926 조선총독부 건립, 1997 파괴 ) -興禮門(일명 弘禮門, 2층) - 錦川橋(瑞獸 4마리) - 維和門(西門) -勤政門-行間道(전면, 원 기둥 초석 도, 사각기둥 측면 방이 있었던 흔적) - 조정(품계석, 박석) 월대(12지 동물중 견과 돈 제외 배치 - 勤政殿(2층, 전 바닥, 용상, 천정 용발톱 7개)- 思政門- 思政殿 (雲龍圖, 便殿, 마루바닥) - 앙부일구 (해시계, 서울 127도 위주 시각 표시, 시각은 씨줄, 나짜는 날줄, 1각은 15분) - 千秋殿(서) - 萬春殿 (동) - 창고(천지현황우주홍황), 雜像(경회루11마리, 근정전 9마리 등) - 修政殿 (집현전 자리 2단석, 장영실 소개, 국립중앙 박물관에 중앙아시아 유물 다수 보관 (日人 오오타니가 中央아시아에서 盜掘해와 朝鮮總督에게 기증 전시하다가 그대로 남음) - 慶會樓(잡상 11개, 1단 돌기둥(바깥쪽 24 원 안쪽 24개 사각), 西門 迎春門 -康寧殿(용마루 없는 寢殿) - 서 慶成殿 동 延生殿 - 嚮五門 - 欽敬閣 - 膺私堂 - 강녕전 굴뚝 - 兩儀門- 交泰殿( 寢殿 용마루 없음, 마루바닥) - 含元殿(용마루, 치미, 내린마루, 용두, 추녀마루, 귀면소개)
- 峨嵋山 庭園(담벽, 굴뚝, 장식, 산의 정기를 이어 만든 후원, 落霞潭, 涵月池 담장화 6각형 무늬, 10장생도, 꽃 무늬)- 후원 연못, 香遠亭, 翠香橋(위치 북쪽을 남쪽에 설치)- 建靑宮 건립(명성황후 시해 여담 - 우범상(우장춘 부, 당시 신식군대 대장, 일인 통과해준 공로로 일본인으로 귀화)이 협조, 나인속에서 발견 살해, 분신, 뼈만 일부 수거 궁인이 장례, 고종 俄館播遷(경운궁 주변 공사관가 옆에서 위험시 도움 청하고자 함) - 민속박물관( 신원전 자리 건축, 우리나라 중요 건축물 조합 건축, 법주사 팔상전, 금산사, 화엄사 참고 1970년대 건축)
-명성황후 숭모비 - 慈慶殿 (대비전 순정왕후 거처) - 동궁(근정전 옆) 資善堂(동궁 거처) -丕顯閣(동궁이 나랏일 의논) - 東十字閣
2.3 오후 경운궁(옛 덕수궁) - 김미강 고궁 길라잡이 해설
임진왜란후 행궁, 월산대군의 사저, 정동행궁, 서궁, 1392년 , 광해군 즉위, 1612 경운궁 명칭, 인목대비 유폐장소(서궁), 1896 아관파천후 덕수궁 명칭, 1919.1.21 고종 함녕전에서 승하, 황궁우(조선호텔 정자), 원구단(시청앞 도로위 철거됨)
대한문 (수병 교대식, 대안문) - 금천교 - 광명문(함녕전 정문(신기정 흥천사 종, 自擊漏 전시) - 중화문 - 조정(박석, 품계석, 2층 월대, 닷돌 문양 용 2마리)-중화전(단층 지붕, 황색 문양, 황제 색, 일월오악병, 천정용발톱 5개, 문창살 삼각형, 정 2, 드므 2 - 浚眀堂(6간, 침전, 편전 용도 덕혜옹주 거주)-卽阼堂 (7간, 편전) - 昔御堂(실제 2층 건물, 고종 어필 현판, 단청없음, 7간х2.5간, 인목대비 유폐, 덕수궁의 유래- 고종이 아관파천후 헤이그 밀사파견 죄명으로 강제 퇴위 순종 대리청정, 고종이 물러난 후 호를 덕수로 칭함 , 덕수는 조선초 태조가 정종에게 양위하고 물러난 후 정종이 태조에게 내린 덕수호를 그대로 내려 퇴위한 임금이라는 의미 부여) - 德弘殿(정사각형, 서양식, 전돌, 산들리에, 오얏꽃 대한제국 문양, 봉황새 등 고종 편전) - 咸寧殿(고종 침전, 고종 67세 승하, 독살위협, 동치미 국물, 1904 아궁이 불 과열 화재 사망, 시신에 붉은 반점 (독살 설) - 화계(모란꽃밭, 소나무 숲(잘못된 조경)- 靜觀軒(서양식 건물, 휴식, 타일지붕, 통판, 러시아식, 박쥐무늬 난간, 한때 태조영정 모심)
- 石造殿(1900-1910 여욱인 건축시작, 일본인이 완성, 1층 대기실, 2층 업무실, 3층 침실) 구조, 미술관으로 사용, 美蘇共同委員會 건물 사용
-서관 석조건물 건립 미술관으로 사용함, 中寧殿(벽돌조, 정동극장 자리 옛 乙巳勒約 調印 건물) - 후원 하회나무
'따뜻한 만남 1 > 국내외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동여행 (0) | 2010.05.24 |
---|---|
궁궐 해설사 꿈 (0) | 2010.05.24 |
산청 선비 문화를 찾아서 (0) | 2010.05.24 |
조선통신사의 길(대마도) (0) | 2010.05.24 |
산맘 백두산 북경 구경 (0) | 2010.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