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만남 3/좋은자료실

전통결혼 홀기

황와 2024. 2. 14. 00:14

[강 48] 전통혼례 홀기(笏記)

 

1. 行親迎禮 (행 친영례)

 

1) 壻出 乘馬以 二燭 前導 (서출 승마이 이촉 전도)

신랑이 나와서 말에 타면 두 사람이 청사초롱을 들고 앞에서 인도한다

 

2) 執雁者 亦 居 其次 (집안자 역 거 기차)

기럭아비(執雁者)는 또 그 다음에 선다

 

3) 至 女家 壻 下馬 于大門 外 入俟 干次

(지 여가 서 하마 우대문 외 입사 간차)

신부의 집에 도착하면, 신랑은 대문 밖에서 말에서 내려자리에 들어가 기다린다.

 

2. 行 奠雁禮 (행 전안례)

 

1) 壻 出次 至門外 東面 (서 출차 지문외 동면)

신랑이 자리에서 나가 문 밖에 이르러 동쪽을 향해 선다.

 

2) 執 雁者 立 右 小退 (집 안자 입 우 소퇴)

기럭아비는 오른쪽에 서서 조금 뒤로 물러선다.

 

3) 主人 出門 西向 揖 (주인 출문 서향 읍)

주인이 문에 나와서 서쪽을 향해서 읍(揖)한다.

 

4) 壻 出者 進授 于壻 (서 출차 진수 우서)

기럭아비가 신랑에게 기러기를 준다.

 

5) 壻 受雁 奉之 左首 (서 수안 봉지 좌수)

신랑은 기러기를 받아 머리가 왼쪽으로 가게 한다.

 

6) 主人 先行 至廳事 (주인 선행 지청사)

주인이 앞서서 대청으로 간다.

 

7) 壻 從之 (서 종지)

신랑이 뒤따라 간다.

 

8) 主人 升自東階 立 西向 (주인 승자동계 립 서향)

주인이 동쪽 계단으로 올라와 서쪽을 향해 선다.

 

9) 壻 升自西階 北向 跪 置 雁于地

(서 승자서계 북향 궤 치 안우지)

신랑이 서쪽 계단으로 올라와 북쪽을 향해 무릎을 꿇고, 기러기를 바닥에 놓는다.

 

10) 主人侍者 受之 (母 及 奉母 可也)

주인 시자 수지 (모 급 봉모 가야)

주인의 시자가 받는다.

(어머니나 유모가 받아도 무방하다).

 

11) 壻 俛伏興 再拜 (서 면복 흥 재배)

신랑이 엎드렸다가 일어나서 두 번 절한다.

 

12) 姆奉女 出 中門 (모봉녀 출 중문)

유모가 딸을 데리고 중문으로 나간다.

 

13) 壻 揖之 降自西階 壻 遂 出 門外

(서 읍지 강자서계 서 수 출 문외)

신랑은 읍하고 서쪽 계단으로 내려가, 드디어 문 밖으로 나간다.

 

14) 女 從之 (여 종지)

신부가 뒤따라 나간다.

 

15) 壻 擧 轎簾 以俟 (서 거 교렴 이사)

신랑이 가마의 발을 들고 기다린다.

 

16) 女 乃 登轎 (여 내 등교)

신부가 비로소 가마에 오른다.

 

17) 姆 遂 下簾 (모 수 하렴)

유모가 발을 내린다.

 

18) 壻 乘馬 先 婦 轎行 (서 승마 선 부 교행)

신랑은 말을 타고 먼저 가고, 신부는 가마를 타고 간다.

 

19) 婦轎 亦以 二燭 前導 (부교 역이 이촉 전도)

신부의 가마도 역시 두 개의 청사초롱이 앞에서 인도 한다.

 

20) 壻 至家 立于 廳事 (서 지가 입우 청사)

신랑이 집에 도착하면 대청에 선다.

 

21) 俟婦 下轎 (사부 하교)

신부가 가마에서 내리기를 기다린다.

 

22) 揖而 導入 (읍이 도입)

읍하고 인도해 들어간다,

 

3. 行 交拜禮 (행 교배례)

 

1) 婦 從者 布 壻席于 東方 (부 종자 포 서석우 동방)

신부의 수모가 신랑의 자리를 동쪽에 깐다.

 

2) 壻 從自 布 婦席于 西方 (서 종자 포 부석우 서방)

신랑의 시반이 신부의 자리를 서쪽에 깐다.

 

3) 壻 盥于南 婦從者 沃之 進帨

(서 관우남 부종자 옥지 진세)

신랑이 남쪽에서 손을 씻되, 신부의 수모가 물을 따라 주고 수건을 올린다.

 

4) 婦 盥于北 壻 從自 沃之 進帨(各從者 皆以 其家 女人爲之)

(부 관우북 서 종자 옥지 진세 (각종자 개이 기가 여인위지)

신부가 북쪽에서 손을 씻되, 신랑의 시반이 물을 따라 주고 수건을 올린다.(시반이나 수모는 모두 그 집 여인으로 한다).

 

5) 壻 揖婦 俱就席 相向 立 (서 읍부 구취석 상향 립)

신랑이 신부에게 읍하고 모두 자리에 나아가 마주 보고 선다.

 

6) 婦 先再拜 壻 答一拜 (부 선재배 서 답일배)

신부가 먼저 두 번 절하고, 신랑은 답례로 한 번 절한다.

 

7) 婦 又 再拜 壻 又 答一拜 (부 우 재배 서 우 답일배)

신부가 또 두 번 절하면, 신랑은 또 한 번 답한다.

 

8) 壻 揖婦 俱 就坐 (서 읍부 구 취좌)

신랑이 신부에게 읍하고 모두 자리에 앉는다.

 

9) 從者 斟酒 設饌 (종자 침주 설찬)

수모가 술을 잔에 따르고 안주를 차린다.

 

10)壻婦 各察酒 擧肴(小傾于 地以 肴小 許置于 卓子)

(서부 각찰주 거효(소경우 지이 효소 허치우 탁자)

신랑과 신부는 술을 조금 땅에 붓고 안주를 든다.

(술은 조금 땅에 기울이고 안주를 조금 집어 탁자에

올려놓는다).

 

11) 又 斟酒 (우 침주)

다시 술을 따른다.

 

12) 壻 揖婦 擧飮 不察 無肴 (서 읍부 거음 불찰 무효)

신랑은 신부에게 읍하고 술을 들어 마시는데, 땅에 기울이지 않고 안주는 들지 않는다.

 

13) 從者 又 取謹杯 分置 壻婦之 前

(종자 우 취근배 분치 서부지 전)

수모가 또 표주박을 가져다가 신랑과 신부 앞에 나누어 놓는다.

 

14) 又 斟酒 (우 침주)

또 술을 따른다.

 

15) 壻 揖婦 擧飮 不察 無肴(俗 從者 手掛 彩絲 壻盃

回歸 婦盃 回壻 是亦 無妨)

(서 읍부 거음 불찰 무효(속 종자 수괘 채사 서배

회귀 부배 회서 시역 무방)

신랑이 신부에게 읍하고 술잔을 들어 마시는데, 땅에

기울이지 않고 안주는 들지 않는다.(풍속에 손에 채색 실을 걸어 신랑의 술잔은 신부를 돌고, 신부의 술잔은 신랑을 도는데 이 역시 무방하다).

 

16) 壻 出 他室 姆 與婦 留 室中

(서 출 타실 모 여부 유 실중)

신랑은 다른 방으로 나가고, 유모는 신부와 함께 그

방안에 머무른다.

 

17) 撤饌 置 室外 設席 (철찬 치 실외 설석)

상 위에 음식을 거두어 방 밖에 놓고 자리를 마련한다.

 

18) 壻從者 凌 婦之 餘 婦從者 凌 壻之 餘

(서종자 릉 부지 여 부종자 릉 서지 여)

신랑의 시반은 신부가 먹다 남긴 음식을 먹고,

신부의 수모는 신랑이 먹다 남긴 음식을 먹는다.

 

19) 復入 脫服 燭出 (복입 탈복 촉출)

도로 들어가 옷을 벗으면 촛불을 내온다.

 

 

                                                       [출처] 전통 혼례 홀기

 

 

'건강한 만남 3 > 좋은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시대 관직 품계표  (0) 2024.03.11
성씨의 뿌리를 찾아서  (0) 2024.03.06
[강46] 절(인사)에 관한 탐구  (0) 2024.02.11
규(圭)와 홀(笏)  (0) 2024.02.01
조선 내시부 환관의 임무  (0) 2024.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