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국조의례 때 왕과 신하가 손에 쥐던 하얀 막대를 말하는데
규(圭)는 임금이 가지고
홀(笏)은 신하가 가졌다.
따라서 홀기에도 집규(執圭) 진규(搢圭), 집홀(執笏) 진홀(搢笏)로 표기된다.
왕 역할 인물의 손에 들고 있는 위가 뾰족한 하얀색 막대가 규(圭)이다.
옆의 신하 역할 인물이 들고 있는 것은 위가 둥근 하얀 막대가 홀(笏)이다.
사극에서 임금이 즉위할 때 입는 금관과 조복과 함께 등장한다.
글자 규(圭)를 보면 흙 토(土)자가 두 개를 겹친 모양으로
임금이 제후에게 땅을 하사한다는 뜻으로 이 규(圭)를 주었다고 한다.
고대 중국에서부터 쓰여졌다고 하며
직위에 따라 만드는 재질이나 크기가 각각 다르다고 한다.
신하들이 사용하는 홀은 신라 진덕여왕이 들여왔지만
왕이 사용하는 규는 고려 때 중국의 면복을 수용하면서 함께 들어왔다.
관련 기록 중 정확한 것은 공민왕 때에 명나라로부터 길이가 아홉 치(27cm)가 되는 걸 받았다는 것뿐이다.
조선시대에도 태종(조선) 이후 수 차레에 걸쳐 명나라로부터 받아 왔으며
관련 기록이 국조오례의 서례(國朝五禮儀 序例) 길례(吉禮) 제복도설(祭服圖說)에 실려 있다.
면복은 명나라 친왕(親王)이 입는 것이었고 규는 명나라 군왕(郡王)이 드는 것이었다.
그 뒤 대한제국 때 고종이 칭제를 하며 명나라의 황제와 같이 1자 2치l(36~40cm)짜리 백옥규를 사용하였다.
'건강한 만남 3 > 좋은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통결혼 홀기 (0) | 2024.02.14 |
---|---|
[강46] 절(인사)에 관한 탐구 (0) | 2024.02.11 |
조선 내시부 환관의 임무 (0) | 2024.01.27 |
동짓날 (0) | 2023.12.22 |
암컷 수컷은 짐승이 되어야 쓰는 말 (0) | 2023.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