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뜻한 만남 1/조상사료실 335

경덕사(景德祠) 시조공과 삼선현 소개자료

1. 高麗 門下侍中 載寧君(휘 禹자偁자).  고려문하시중 재령군께서는 삼가 생각하건대 재령의 씨족을 이루어 단군민족 중에서 저명한 종문으로 고려의 장군 집안으로 삼현을 이어간 원류이며  그 세계를 살펴보면 시조 휘 알자평자께서 악강 언덕 표암에 내리셔서 명성을 날리시고 여섯 화백 대표가 모여 그 수장으로 신라왕을 옹립하니 목숨을 다하고 정성을 기울여 천년의 역사를 감추어진 공로로 시호를 ‘충헌공’으로 은열왕에 봉해 졌고, 월성을 관향으로 이름난 후손들이 가득 차서 대를 이어 평판이 있으니 세계 으뜸 종문으로 위대한 부군이시며, 고려 문하시중은 현재 국무총리급으로 나라에 기여한 충정으로 고려 보조공신으로 국론을 우수하게 이끈 공적으로 재령군에 봉해져 고구려 황해도 식성 지방인 재령을 식읍으로 얻으니 월성과..

경덕사 향례 홀기

景德祠 享禮 笏記景德祠 藏載寧李氏大宗會  祭奠 式前行事順 (司會 : 사무總長) ◍시도기(時到記) (怡和門前 個別登錄)◍집사분정(執事分定) (載陽書堂)◍축문 사축(祝文寫祝) (初獻官,祝 - 祠堂)◯ 개좌 안내(開坐案內) (載陽書堂) - 총장◯ 성복(盛服)-道袍 儒巾, 五執事 官服 ◯ 상호인사(相互人事(唱‘上揖’)◯ 착석 좌정(着席坐定) - 회장 오집사 生者 東上西下(생자 동상서하)◯ 회장인사 및 선현소개 (會長人事 先賢紹介)      시조공 문하시중 재령군(載寧君)      광정대부 상장군(上將軍)공      문하평리 중랑장(中郎將)공      종부시정 사재령(司宰令)공 ◯ 집사분정문의(執事分定問議) - 총장◯ 오집사 소개(五執事 紹介) - 총장◯ 집사자 창..

[강63] 재령이씨 상계 선조와 경덕사 추원재 내력

경주이씨(월성이씨) 시조 휘 謁平 – 初降于 辰韓 瓢巖下 爲及梁部大人 佐新羅始祖 爲開國 佐命功臣 又 爲羅祖姊婿 見三國遺事, 字 天端, 諡 忠憲君, 追奉 恩烈王 (원대손) 휘 居明 - 蘇判 벼슬, 眞骨王族 {경주이씨 족보 36세손}, 경주이씨 중시조 자 휘 金現 - 兵部令 자 휘 金書 - 三重功臣 中原太守, 鷄林君 敬順王尙 高麗太祖女 樂浪公主 生女 神鸞宮夫人 金氏와 혼인 자 휘 潤弘 - 門下侍郞 자 휘 承訓 - 兵正 載寧李氏 分貫祖 - 息城 漢忽 安陵 安盤(식성, 한홀, 안릉, 안반) 자 휘 禹偁 - 補祚功臣 門下侍中 封載寧君 月城 載寧分始此 자 휘 周復 - 司諫 자 휘 昌赫 - (후세손) 휘 元英 - 工部尙書 (혹운 창혁의 자) 휘 根仁 – 令同正 (혹운 상서의 자) 자 휘 小鳳 – 補祚功臣 上將軍 尙恭..

[강 61] 제기(祭器)와 제구(祭具)

* 제상(祭床) : 제사음식을 진열해 놓는 상 * 교의(交椅) : 신주나 혼백함을 올려 놓은 의자 * 향탁(香卓) : 향로와 향합을 올려 놓은 작은 상 * 병풍 : 글씨로 된 병풍으로 준비하여 제상 뒤에 친다. * 돗자리 : 두장을 준비하여 하나는 제상 밑에 깔고 다른 하나는 제상 앞에 깐다. * 향로(香爐) : 향을 피우는 작은 화로 * 향합(香盒) : 향을 담는 그릇 * 모사기(茅沙器) : 모래와 띠의 묶음인 모사를 담는 그릇으로 보시기와 같이 생겼다. * 촛대 : 두 개를 준비한다. * 주독(主독) : 신주를 모시어 두는 나무 궤 * 신주(神主) : 죽은 사람의 위패(位牌) 고인의 위(位)를 모시는 나무 패로서 대개 밤나무로 만든다. 길이는 8치(약24㎝) 너비는 2치(약6㎝)정도. 나무 대신 종이..

[강 60] 제사 순서(祭祀 順序)

(1)降神(강신) 강신이란 신위께서 강림하시어 음식을 드시기를 청한다는 뜻이다. 이에 앞서 제주가 신위를 모셔오는 뜻으로 대문 밖에 나왔다가 들어오며 제사를 마친 후에는 다시 신위를 전송하여 대문 밖까지 나갔다가 들어오는 지방 풍속도 있다. 강신은 제주 이하 모든 참사자가 차례대로 선 뒤 제주가 신위 앞에 나아가 꿇어앉아 분향하고 우집사(右執事=子,姪이 한다)가 술을 잔에 차지 않게 조금 따라 제주에게 주면, 제주는 받아서 모사(茅沙) 그릇에 세 번으로 나누어 붓고 빈잔을 우집사에게 다시 돌려주고 일어나서 재배한다. 그런데 향을 피움은 하늘에 계신 신을 모시고자 함이요, 술을 따르는 것은 땅에 계신 신을 모시고자 함이라 한다. (2)參神(참신) 강신을 마친 후 제주 이하 모든 참사자가 신위를 향하여 함께..

[강 59] 묘제 축문

1. 墓祭(묘제)를 齋室(재실)에서 지낼때. 墓祭(묘제)또는 歲一祭를 일기가 좋지 않아서 집이나 齋室(재실)에서 묘제를 올릴때 축문. 維 歲次 壬辰十月乙丑朔初七日 辛未 ㅇ代孫 ㅇㅇ敢昭告于 顯ㅇ代祖考 學生府君 顯ㅇ代祖妣 孺人ㅇㅇㅇ氏 氣序流易 霜露旣降 宜禮墓祀 事勢不逮 設位奉行 不勝感慕 謹以 淸酌庶羞 祗薦歲事 尙 饗 維 歲次壬辰十月乙丑朔初七日辛未 ○代孫 ○○ 敢昭告于 顯○代祖考 學生府君 顯○代祖妣 全州李氏 氣序流易 霜露旣降 宜當墓祭 於禮之當 今爲 日氣雨天(不順) 玆敢 設位奉行 不勝感慕 謹以 淸酌庶羞 祗薦歲事 尙 饗 일기가 좋지 않아 墓祭나 時祭를 齋室(재실)이나 집에서 모실 때는 축문을 之壇. 之墓와 瞻掃封塋을 빼고 作祝을 하면 된다. ​ 2. 墓祭(묘제)- 正朝. 寒食. 端午. 秋夕. 墓祭 묘제는 기제사를..

[강 58] 묘제 홀기

墓祭 笏記(묘제홀기) 執禮 先就 墓前 再拜 就位 ; 집례는 먼저 묘앞에 나아가 재배하고 제자리로 가시오.집례 선취 묘전 재배 취위獻官以下 在位者 皆 序立 ; 헌관 이하 참례자는 모두 차례로 서시오.헌관이하 재위자 개 서립祝官 諸執事 前列 序立 ; 축관과 제집사는 앞 줄에 차례로 서시오.축관 제집사 전열 서립謁者引 初獻官 點視 還出 ; 알자는 헌관을 인도하여제수를 점검하고 돌아오시오.알자인 초헌관 점시 환출謁者進 初獻官之 請 行事 ; 알자는 초헌관에게 제사 시작을 청하시오.알자진 초헌관지 청 행사ㅇ行 參神禮 ; 참신례를 행하겠습니다    행 참신례獻官以下 在位者 皆 再拜 ; 헌관이하 참례자 모두 재배하겠습니다[鞠躬 拜興 拜興 平身]헌관이하 재위자 개 재배                             ..

[강 57] 명절 차례 진설 및 순서

1. 추석.설 陳設(진설)및 茶禮(차례)순서 陳設圖(추석.설)​ 떡국. 송편 시접 떡국. 송편 잔반 잔반 부꾸미 조청.꿀 육전 두부전 누름적 산적 계적 갈납 동태전 어전 육탕 소탕 (토란탕) 어탕 포 청장 (간장) 침채(나박김치) 식혜 대추 밤 배 감(곶감) 사과 수박 다식 약과 강정 한과 산자 *추석이나 설은 차례이므로 낮에 제를 올리며 單獻無祝(단헌무축)입니다. *추석에는 메(밥)대신 송편을 설에는 떡국을 올립니다. 명절에는 밥을 올리지 않으므로 菜(채:나물)올리지 않아도 됩니다. 추석엔 沈菜(침채:나박김치)는 올리며 탕은 소탕대신 토란탕을 올리기도 합니다 *추석이나 설이라도 메(밥)를 올리면 조기.김.나물을 모두 올리야 됩니다 *설에는 부꾸미를 조청이나 꿀과 함께 올립니다. 과일중에서 實果(실과)는..

[강 56] 축문 용어 해설

祝文 用語(축문용어) 敢(감) : 감히. 敢忘(감망) : 감히 잊을 수가 있겠는가? 感慕(감모) : 마음에 느껴 사모함․ 敢昭告于(감소고우) : 삼가 밝게 아뢰옵니다. 謹告(근고) : 삼가 아뢰다. 虔告謹告(건고근고) : 정성들여 고하고 삼가 고함․ 建玆宅兆(건자택조) : 무덤을 이룸. 敬伸奠獻(경신전헌) : 공경하는 신께 전을 올림․ 孤哀子(고애자) : 어버이를 모두 여윈 바깥 상주가 자기를 일컫는 말. 恭修歲事于(공수세사우) : 공손하게 제사를 올림․ 恭伸(공신) : 공손하게 펼치다. 恭伸奠獻(공신전헌) : 공손하게 전(奠)을 드림. 歸根之時(귀근지시) : 풀과 나무의 뿌리까지 기운이 거두어지는 계절이라는 뜻. 謹具某物(근구모물) : 비지(碑誌), 상석(床石), 망주(望柱),석인(石人)등 건립하는 석..

[강 55] 대행축문 사례

代行祝(대행축) - 旁親(堂叔.伯叔.兄.弟) ㅇ堂叔祝(無子時) 維 歲次 甲子 正月 甲戌朔 初七日 庚辰 從姪ㅇㅇ敢昭告于 顯堂叔學生府君 顯堂叔母孺人全州李氏 歲序遷易 顯堂叔 諱日復臨 不勝感愴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 饗 ㅇ弟祝(無子時) 維 歲次 甲子 正月 甲戌朔 初七日 庚辰 兄(이름) 告于 弟(이름) 秀士府君 歲序遷易 亡日復至 不勝感愴 玆以 淸酌脯醢 伸此奠儀 尙 饗 ㅇ 兄忌日 代行祝(그 아들이 8歲이하 일 때) 조카가 나이가 어릴 때 삼촌이 대행한다 維 歲次 甲子 正月 甲戌朔 初七日 庚辰 孝子ㅇㅇ幼不能將事 弟 攝事 敢昭告于 顯仲兄學生府君 顯仲嫂孺人ㅇㅇ氏 歲序遷易 顯仲兄 諱日復臨 不勝感愴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 饗 ㅇ兄祝(無子時) 維 歲次 甲子 正月 甲戌朔 初七日 庚辰 弟ㅇㅇ 敢昭告于 顯伯兄(중형 : 顯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