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12.13 족보보기 |
[강43] 족보(族譜) 보기
유적 사진(齋室, 亭子, 得姓遺跡, 墓所, 등)
族譜序- 종중회장 인사말과 족보의 제작연유와 내력
凡例 - 일러두기, 족보 기록에 대한 제한점이나 원칙안내
譜司 任員 組織 -족보 제작 담당자 구성
行列表 - 이름 행열 水木火土金 순의 획으로 이어짐(鉉浩秉煥在錫永柱烈坤鎬洛)
世系圖 - 파계도 개략도
族譜
本貫 月城 (慶州, 鷄林) 姓氏 : 李氏
中貫 載寧 (安陵, 漢忽, 安盤, 息城-재령의 다른 구지명)
鼻祖 : 알평(謁平) 初降于 辰韓之 瓢巖下 爲 及梁部 大人 佐 新羅始祖 爲 開國佐命功臣 又 爲羅祖 姊壻 詳見 三國遺事
처음 진한의 표암에 내려오셔서 급량부 대인 신라시조를 도와 개국좌명공신으로 또 신라조 누이 사위로 삼국유사에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족보는 6단으로 기록되는 것이 보통이며
上은 先代이고 下는 後代이며 上下는 父子間이고 上下 한 대간에는 1寸이고 아들은 子 아름을 딸은 女 사위 성명을 기록하였다.
始祖(分貫祖) : 子 禹偁 補祚功臣 門下侍中 封 載寧君 月城 載寧之分始此
보조공신 문하시중 재령군에 봉해지고 월성과 재령으로 나누어지게 되었다.
子 小鳳 純誠補祚功臣 上將軍 尙 恭愍王女 或云 有兄 大鳳 封安陵君 아들 소봉은 순성보조공신으로 상장군이었고 공민왕의 딸과 혼인하였다. 혹은 형이 大鳳으로 安陵君에 봉해졌다
字 : 어릴적 부모가 지어주던 이름대신 부르는 별칭,
보통 바르게 잘 자라라는 뜻이 담겨있다
號 : 이름 대신 부르는 호칭명,
주로 고향산천이나 겸손과 저하를 나타내는 이름을 지음 ,
누구나 존칭사를 붙이지 않아도 되는 호칭,
大, 巨, 長, 丈. 德 자(크다, 좋다는 뜻) 등은 쓰지 않음
족보문장 : 이름, 자, 호, 아명, 증직벼슬, 행직벼슬, 벼슬 이동, 이력 주요 공적, 포상기록, 살던 곳, 配(돌아가신 부인), 室(살아있는 부인), 본부인 먼저 재취 결혼 순으로 기록, 여인 봉작(남자의 벼슬에 따라 정해지는 여성 작위임, 벼슬안한 보통여인은 孺人(9급)-관향성씨와 친정 아버지 이름과 선대 이름난 선조의 후 기록, 생일 졸일, 묘소 기록, 산 좌향 쌍봉 합부표시, 가장, 행장, 묘갈명 찬술자, 찬술한 서적 문집 기록, 결혼일은 기록생략, 양자기록 : 생부 ‘출위 OO후’ 쓰고 양부 ‘系子 생부 OO’라 기록
女 딸, 옛 족보에는 사위 성명 기록(家父長制),
신족보 딸이름 기록
외손은 사위 이름 아래 子 성명 기록
'육사뜰 소식 > 재령창원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원종친회 장년회 참가 (0) | 2023.12.16 |
---|---|
창원종친회 사총사 함께 오찬하다. (0) | 2023.12.13 |
추원재 시제를 위한 전일 점검 성묘 (0) | 2023.11.12 |
창원종친회 장년회 10월 이사회 참석 강의 (0) | 2023.10.15 |
9월 종친회 이사회 생오리맛집 만복 (0) | 2023.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