雪積山頭變 이요 눈이 쌓은 산은 꼭대기가 변하고
설적산두변
風吹樹葉飜 이로다 바람이 불면 나무잎이 뒤집힌다.
풍취수엽번
舊人看新曆 이요 옛사람은 새달력을 보고
구인간신력
新戀訪舊巢 로다 새연인은 옛 보금자리를 돌아본다.
신연방구소
繁鶯歌有曲 이요 번성한 꾀꼬리는 곡조가 있는 노래를 하고
번앵가유곡
疎蝶舞成行 이로다 트인 나비는 돌아다니며 춤을 춘다.
소접무성행
淡魚當鏡躍 이요 연못의 고기는 마땅히 거울 보기 위해 뛰어오르고
담어당경약
山鳥拂屛飛 로다 산새는 떨어내며 병풍에서 날아오르네
산조불병비
斜陽歸客袖 요 저무는 해는 집으로 돌아가는 나그네 소매에 걸리고
사양귀객수
芳草老農茵 이로다 향기로운 풀은 늙은 농삿군의 방석이로다.
방초노농인
松竹靑不變 이요 소나무와 대는 푸르름이 변하지 않고
송죽청불변
桂栢香可聞 이로다 월계수와 측백나무는 그 향기 좋은 소문을 듣네
계백향가문
灘近寒生枕 이요 여울은 가까이 한기가 느끼는 베개를 베고
탄근한생침
山回翠作屛 이로다 산을 돌면 푸르름은 병풍을 짓는다.
산회취작병
春來人分野 요 봄이 오면 사람들은 들판에 흩어지고
춘래인분야
秋至栗滿家 로다 가을에 이르면 밤이 집에 가득하구나
추지율만가
遠岫撑天立 이요 먼 산 꼭대기는 하늘을 서서 버티고
원수탱천립
長江裂地流 라 긴 강물은 땅을 찢어 흐르네
장강열지류
農人耕白水 요 농군은 맑은 물로 밭을 갈고
농인경백수
樵叟斫靑山 이라 땔나무군 노인은 청산을 벤다.
초수작청산
夜對山月白 이요 밤은 산 달빛을 희게 대하고
야대산월백
朝看海日紅 이라 아침은 바다 해를 붉게 보게 한다.
조간해일홍
水淸群兒浴 이요 물이 맑으니 아이들이 목욕하기 좋고
수청군아욕
松陰老僧眠 이라 소나무 그늘은 노스님들이 쉬기 좋다.
송음노승면
金鷄曉喚日 이요 금빛 닭이 새벽에 울어 해를 부르니
금계효환일
玉妃夜呼月 이라 옥왕비가 밤에 달을 부르는 것 같구나.
옥비야호월
露杏垂靑玉 이요 이슬내린 은행나무에 푸른 옥이 드리워졌고
노행수청옥
霜枾掛紅星 이라 서리내린 감나무에 붉은 별이 매달렸구나
상시괘홍성
竹語風輕夕 이요 대의 속삭임은 바람이 저녁을 가볍게 지나게 하고
죽어풍경석
花笑雨細晨 이라 꽃의 미소는 비가 새벽에 가늘어짐을 안다.
화소우세신
鳥割靑山影 이요 새는 청산의 그림자를 가르며 날고
조할청산영
僧踏白雲色 이라 스님의 발걸음은 흰구름 사이 색칠이구나
승답백운색
花發樹如錦 이요 꽃이 피니 나무가 비단 같고
화발수여금
鶯啼柳若絲 라 꾀꼬리 울제 수양버드나무는 실과 같구나
앵제류약사
秋夜千峯月 이요 가을밤 달빛에 많은 봉우리를 만들고
추야천봉월
春風萬樹花 라 봄바람은 만가지 나무를 꽃피우네
춘풍만수화
一聲江上笛 이요 한줄기 강위에 부는 피리소리요
일성강상적
千里月中舟 라 천리 달 가운데 조각배로다.
천리월중주
日暮鷄登架 요 날이 저물면 닭은 횃대에 오르고
일모계등가
溪深鷺窺魚 라 시내가 깊어지면 해오라기 물고기를 엿보네
계심로규어
雨意雲端黑 이요 비 의미는 구름이 검어지는 끝에 있고
우의운단흑
春心木末靑 이라 봄 맘은 나무가 푸르름 끝에 있다.
춘심목말청
月照梧桐上 이요 달빛은 오동나무 위를 비추고
월조오동상
風來楊柳邊 이라 바람은 버들가지 끝에 불어 오누나.
풍래양류변
月明村歌起 요 달빛이 밝으니 마을에 노랫소리가 일어나고
월명촌가기
山靑牧童登 라 산이 푸르니 목동들이 소치러 올라가네
산청목동등
花落飄紅雨 요 꽃이 떨어지니 회오리 바람에 붉은 비가 내리고
화락표홍우
鷗飛破碧烟 이라 갈메기 나니 푸른 안개가 깨어지는구나
구비파벽연
葉裡桃如玉 이요 잎속에 복숭아는 옥과 같고
엽리도여옥
簷前雨作鈴 이라 처마 앞 빗물은 방울을 만드는구나
첨전우작령
笋如黃犢角 이요 죽순은 누런 송아지의 뿔과 같고
순여황독각
蕨似小兒拳 이라 고사리는 어린애 주먹 같구나
궐사소아권
栗黃鼯來拾 이요 밤이 노래지면 다람쥐가 주우러 오게하고
율황오래십
枾紅兒上摘 이라 감이 붉어지면 아이가 쳐다보고 따게 한다.
시홍아상적
天空彩雲滅 이요 하늘 빈 곳은 채색구름이 없어지는 곳이요
천공채운멸
地遠淸風來 라 땅 먼곳은 맑은 바람이 불어오는 곳이니라.
지원청풍래
明月雲間燭 이요 밝은 달은 구름사이 촛불이요
명월운간촉
白露菜上珠 라 흰 이슬 방울은 채소 위에 구슬이구나.
백로채상주
夏成鷰雀賀 요 여름엔 제비와 참새의 축하의 지저귐 성하고
하성연작하
水滿鳧雁沒 이라 물이 차면 오리 기러기 물속에 숨는다.
수만부안몰
馬走駒隨後 요 말이 달리면 망아지는 뒤를 따르고
마주구수후
牛耕犢臥原 이라 소가 밭을 갈면 송아지는 언덕에 누웠구나.
우경독와원
天長去無執 이요 하늘은 깊어 가도가도 잡히는 게 없고
천장거무집
野濶往若來 라 들은 너무 넓어 가고 오는 게 같구나
야활왕약래
野廣天抵樹 요 들은 넓어 하늘을 막는 것이 나무요
야광천저수
江淸月近人 이라 강은 맑아 달이 사람과 가깝느니라
강청월근인
白酒紅人面 이요 맑은 술이 사람의 얼굴을 붉히고
백주홍인면
黃金黑吏心 이라 황금이 벼슬아치의 마음을 검게 하니라
황금흑리심
人心變朝夕 이요 사람의 마음은 아침저녁으로 변하나
인심변조석
山色如古今 이라 산의 빛깔은 예나 지금이나 같구나.
산색여고금
鴈引愁心去 요 기러기는 근심하는 마음을 가게 이끌고
안인수심거
山含好月來 라 산은 둥근 달이 오는 걸 머금는다.
산함호월래
馬蹇愁路遠 이요 말이 절면 먼길이 근심스럽고
마건수로원
衣弊㥘風寒 이라 옷이 혜지면 찬바람에 겁먹는다.
의폐겁풍한
飼犬能守夜 요 개를 기르는 건 능히 밤을 지켜내야 하고
사견능수야
養鷄獨司晨 이라 닭을 기르는 건 홀로 새벽을 맡아야 한다.
양계독사신
山外山不盡 이요 산 밖은 산을 다할 수 없고
산외산불진
路中路無窮 이라 길 가운데 길은 끝이 없다.
로중로무궁
綠竹君子節 이요 푸른 대는 군자의 절개요
녹죽군자절
靑松丈夫志 라 푸른 소나무는 장부의 의지니라
청송장부지
春梅丈人行 이요 봄 매화는 어른을 움직이게 하고
춘매장인행
秋菊隱逸趣 라 가을 국화는 편안한 취미를 숨긴다.
국추은일취
人若無禮義 요 사람이 예의와 정의가 없음과 같고
인약무례의
禽獸何擇哉 로다. 새와 짐승을 어찌 가리겠는가?
금수하택재
'사랑의 만남 4 > 옛적교과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몽집4 (0) | 2020.10.12 |
---|---|
해몽집 2 (0) | 2020.10.09 |
解蒙集 1 (0) | 2020.10.09 |
목민심서 33 호전6조 3. 곡부(穀簿) (0) | 2019.06.02 |
목민심서 32 호전6조 2. 세법(稅法) (0) | 2019.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