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19 목요걷기 무학산 둘레 임도길 걸었다.
코스 : 만날공원-만날재(체조)-쌀재(휴식)-감천 임도 -원계 새길임도-원계마을
거리 시간 인원 : 2만 1천 보 약 14.0km 4.0시간, 10명
특색 : 바람부는 화창한 봄날, 원계임도 새길 이어걷기 상쾌했다.
야생화 (목련화, 할미꽃, 자두화, 현호색,얼레지 등)
봄 아재들과 봄 아씨들이 모인다.
목요 걷기 재현하는 날
제일여고 앞에서 문화동마을 뚫으며 올랐다.
옹기종기 성황마을 정자나무가 우뚝하다.
야생화 핀 어느 식당 담벼락아래
곱게 모아 핀 할미꽃 꽃잔디 멋지다.
여남 명 길벗들이 모여든다.
만날재 마당 2층 정자 새로 섰다.
늘어진 그네는 어디 갔는지?
희고 붉은 매화꽃이 골을 밝힌다.
곱사등 같은 만날재 올라
시작전 체조로 몸 풀었다.
10명 모두 즐거움이 입가에 발렸다.
양지쪽 산촌마을 따스하다.
켜켜히 쌓은 토담벽이 고담촌임 알린다.
망사장 안 사지 묶인 아귀들
못된 인상 알리며 걸려 말린다.
똥파리들이 윙윙 주위를 맴돈다.
개미 한 마리 움직임 없는 빈 산촌 풍경
임도따라 올라가면 쌀재
오늘은 날던 까마귀도 한 마리 없다.
옛날 이야기 만드는 장고개
정자에 막걸리 잔 찌짐안주 주막이 된다.
푹 삶은 고구마 무던히도 달다.
쉬고 마시고 먹고 봄잔치다.
홍시도 뒤늦게 합류한다.
쌀재 삼거리 입구 수전노 같은 놈
길 막은 행위 불평 욕을 마구한다.
요즘 다 그런 놈들이 대세다.
자기만 알고 이웃을 배려하지 못하는 인간들
감천골 임도 들어서니 바람마저 시원하다.
대산, 무학산 산등성 구비마다
작은 골짜기 봄물 흐르는 소리 들으며
임도 자갈길 고시랑고시랑 대화한다.
자락을 휘감아 도는 길
봄날 따스한 햇볕 배낭멘 등을 데운다.
무학산이 너무 행복해진다.
새길 따라 임도 올라
30m 폭포수 흩날리는 대폭포
또 휘감아 돌아 감천골 마지막 계곡
시루봉이 내려다뵈는 마지막 골짜기
모두 계곡 물소리 들으며
점심상 펼치니 모두 봄나물 잔치다.
봄을 한껏 맛 보았다.
이제부턴 새로운 임도길 간다.
작년까지 안뚫린 못 가본 새길
무학산 뒷등성이를 휘감고 돈다.
새길이라 잔자갈 하얗게 깔려 예쁘다.
쑥 캔다고 나선 여인네들 멀쭉해 지는 길
새길이라 야생초도 없다.
단지 가는 내 머리털 같은 莎草
길가에서 하얗게 세어 늙었다.
아래 골짜기 내 마지막 터전 전안초가 보인다.
후배 강 교장 한번 오라는 요청 못 가 미안하다.
산길 비스듬히 올라갔다가 내려가고
골짜기 안으로 들어갔다가 돌아나가고
제법 먼길 걸은 듯 뒤꿈치가 아파온다.
조금 지겨움 느끼게 올라가니
마지막 무학산 등산로 원계 능선길 맞는다.
솔숲길 시원하게 내려가며
응달 그늘에 핀 파란 현호색
치마 둘러 쓴 얼레지 멋진 춤판.
원계마을 동대(東臺) 정자나무 둘러
정류소에서 오늘 산책 감사했다.
2만 1천 보, 약14 km 먼 길 동행했다.
'건강한 만남 3 > 산책로풍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주산누리길 진달래 오솔길 환영 (0) | 2020.03.26 |
---|---|
진달래 활짝 맞이 장복산 고개를 넘다. (0) | 2020.03.24 |
진달래 핀 서원곡 8자 산책길 (0) | 2020.03.17 |
봄 물소리 진달래 밝은 제2금강계곡길 (0) | 2020.03.12 |
봄비속 갈뫼산 둘렛길 봄소리 듣다. (0) | 2020.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