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만남 3/좋은자료실

입춘첩 - 입춘대길 건양다경

황와 2018. 2. 3. 14:12

『동국세시기』나 『경도잡지()』 등에 전하는 춘첩으로,



‘문신호령() 가금불상()’,

‘국태민안() 가급인족()’,

'우순풍조(調) 시화세풍()‘ 등의

대구어()가 있으며,


여염집의 기둥이나 문설주에는

’수여산() 부여해(),

‘거천재() 래백복()’,

‘입춘대길() 건양다경()’,

‘요지일월() 순지건곤()’,

‘애군희도태() 우국원연풍()’,

‘부모천년수() 자손만대영()’,

‘천하태평춘() 사방무일사()’,

‘국유풍운경() 가무계옥수()’,

‘재종춘설소() 복축하운흥()’,

‘북당훤초록() 남극수성명()’,

‘천상삼양근() 인간오복래()’,

‘계명신세덕() 견폐구년재()’,

‘소지황금출() 개문백복래()’,

‘봉명남산월() 인유북악풍()’,

‘문영춘하추동복() 호납동서남북재(西)’,

‘육오배헌남산수() 구룡재수사해진()’,

‘천증세월인증수() 춘만건곤복만가(滿)’ 등의

대련()을 많이 쓴다고 하였다.


또한 문이나 문설주에 붙이는 단첩()에는

‘춘도문전증부귀()’,

‘춘광선도길인가()’,

‘상유호조상화명()’,

‘일춘화기만문미(滿)’,

‘일진고명만제도(滿)’ 등이 있다고 하였다.

오늘날에도 ‘입춘대길 건양다경’ 같은 입춘첩을 써두었다가

입춘에 책력()에 나와 있는 시간에 맞추어 대문이나 기둥 등에 붙인다.

먼저 사당에 가서 입춘이 왔음을 고하는

‘감고() ○○년() 입춘() ○○월() ○○일() ○○시()’의 입춘축을 붙이고,

이어 집의 구조와 기능에 따라서,

대문에는 입춘대길() 건양다경(),

중문에는 문신호령() 가금불상()’과 ‘신도울루()’,

기둥에는 ‘천증세월인증수() 춘만건곤복만가(滿),

아버지 방에는 ‘부주평안()’,

어머니 방에는 ‘모주평안()’,

곳간에는 ‘의이장지(), 절이용지()’

각각의 기원문을 써서 붙인다.


상중()에 있는 집에서 입춘첩을 붙이지 않는다.

입춘축 (한국세시풍속사전, 국립민속박물관)


    


'건강한 만남 3 > 좋은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문 단어상의 특징  (0) 2018.05.07
저두멱천(低頭覔天)이라  (0) 2018.05.05
한글이야기  (0) 2018.01.25
2018년도 통영 물때 달력  (0) 2018.01.21
생활의 지혜   (0) 2018.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