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마운 만남 2/고운사진첩

미군이 찍은 해방후 모습

황와 2014. 8. 17. 10:26

해방 당시 우리나라의 실상

겨우 풀칠하고 혿옷에 떨며 

가난으로 팽개친 나라 

지금 모습으로 추정하지 말기를 ..........

이 사진을 통해서 알게해 주십시오.

아이들 교육자료로 삼아주십시오

 

 

 

한국주둔 미군이 찍은 사진

 
아래 사진들은 미군종 포토 저널리스트인 돈 오브리안(Don O"Brien)이 1945-46년까지

일본군 무장해제를 위해 한국에 진주한 미군과 함께 한국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96505067_d0bb72b6c7.jpg

한국노인과 사진작가 O'Brien
316445847_291ae1fdd0_z.jpg
일본 오키나와에서 한국으로 출발전 미통신대.
찦차앞 범퍼에 세워저 있는 도구는 찰조망을 자르는 장비.
유럽에서 기록사진을 촬영하던 미통신부대(미군은 통신부대가 기록사진 찍는 업무를 담당)는 히틀러의 패망으로 배를 타고 58일간의 긴 항해 끝에 유럽의 반대쪽에 있는 오키나와에 도착했다. 일본이 항복을 하고 그해 9월 이들은 오키나와에서 배를 타고 일본군의 무장해제를 위해 상륙하는 미군과 함께 인천에 상륙했다.
1536728164_33423d95ce_z.jpg
인천항에 도착한 기록사진 요원들과 그들이 사용하는 장비.
88335914_506c802219_z.jpg
악의가 없는 천사 같은 어린아이의 눈을 가진
이 노인이 정말 내 마음을 사로 잡는다.

 

90649140_48a31f0efc_z.jpg
한강 뜬 돛단배 한 척 
평화로운 모습으로 어디론가 향해 가고 있다.

 

92856553_e9e656e42a_z.jpg
핵폭탄 두 발을 맞고 항복한 일본에서 귀국한 동포들의 모습.
나는 이들이 어떤 모습으로 귀국했는지 항상 궁금했다.
해방 직후 아버님 친구도 일본에서 돌아왔으나 그들은 고위직에 있었는지 비행기를 타고
여의도 비행장에서 내렸을 정도로 일본에서 잘 살았었다.
이야기는 1960년초 아버님 친구들이 모여서 식사할 때 직접 그분으로 부터 들은 이야기다.
그래도 감이 잡히지 않았으나 윗사진을 보면서 그들이 어떤 모습으로 어떤 옷을 입고 돌아왔는지 상상을 할수가 있게 되였다.

 

94098090_50ba887fa3_o.jpg
서울에서 구걸을 하는 걸인의 모습

 

103940945_22412bcf2b.jpg
일본군 무장 해재를 위해 진주한 연합군 환영 행진.
        이들이 신은 군화와 복장이 아마 일본군의 군복이 아닐까 추정을 해본다.
109454106_21fe04a41b.jpg
일본군의 무장해제를 위해 38선 이북에 진주한 소련군인과 사진작가
이북에서 남으로 피난을 온 사람들로부터 6.25 전쟁 휴전 후 이들이 저지른 만행을 정말 많이 들어서 이들이 나는 어릴 때 괴물같이 생겼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했었다.
북한에 진주한 많은 소련군인들이 형무소에 갇혀있든 죄수들도 섞여 있었다는 사실을
나이들어 문서를 검색해서 알게 되였다.
평양에서 피난온 연세 많은 이웃으로 부터 소련어로 다와이(내놔), 호로쇼(좋다), 니엣(No)라는 말을 배울 정도였으니 나는 수많은 소련군의 만행을 들으며 자랐다.
북한에서는 소련군을 통칭해서 로스케로 불렀다.
4276927463_a08ea01620_z.jpg
사진작가 Don O'brien의 집차 앞에서 사진을 찍은 로스케.
내가 들은 소련군의 만행 한 토막, 시계를 가져 보지 못했든 소련군은 길에서서
지나가는 행인들의 팔을 검사해서 차고 있는 시계를 모조리 뺏어서 자신의 양팔에 차고 다니다가 태엽을 감을지 몰라 작동하지 않는 시계는 버렸다고 했다.
3546709332_a8d8ed9cdb_z.jpg

북한에 진주한 소련군들의 모습. 

밀기울이나 곡물 껍질로 만든 검은 빵을 가지고 다니며,베개로 이용해 잠잘 때 사용하다가
배가 곺으면 비고 있는 검은 빵을 뜯어 먹으며, 영하 30도의 한 겨울에도 철길에서 철로를 베고 잠을 잔다는 북한에 진주한 소련군.
군표(점령지에 주둔한 군대가 발행하는 돈, 현지에서만 통용 가능)를 찍어 들고 다니며
가위로 잘라 가며 사용한 소련군의 영향으로 북한 경제에 큰 혼돈을 주기까지 했다.
내가 상상했든 괴물의 모습 못지 않게 이들에게서 야비함과 잔인함 마져 느껴진다.
3894782980_6efd2a8127.jpg
                               일본군의 장갑 무장 열차
상륙하는 미군에 대항하기 위해 특별 제작한 장갑 열차의 모습이다.
3956478984_b1d01923c7_z.jpg
장갑열차를 끄는 장갑 증기기관차의 위용.
Lt.jpg
존 하지(John R Hodge) 미육군 중장.
하지 중장이 배를 타고 인천항으로 들어오는 모습이다.

 

LoweringJapaneseFlag1945.jpg
일장기를 내리는 모습을 지켜보는 미군

 

Surrender1945.jpg
중앙청에서 항복 문서에 서명하는 일본 총독

 

2518556793_e3aeed9b2b.jpg
중앙청에 있는 행사장을 찍은 천연색 사진

 

111087982_e0d401139e.jpg
1946년 귀국한 이승만 대통령 환영행사

 

113882759_730ee6b10f_z.jpg
군정장관 하지 중장에게 화환을 증정하는 소녀들

 

113516319_5a03b4bd25_z.jpg
서울 근교에 있는 작은 기차역.
 
114578665_61ba24efe0_z.jpg
이승만 대통령의 환영행사

 

116056855_9be5d6f224_z.jpg
36년간 일제의 만행에 지친 모습의 노인

 

116945917_7a44ce0859_z.jpg
시가행진을 지켜보는 서울 시민들의 모습.
 

 

119572852_7c5e5dcdb0_z.jpg
담뱃대를 물고 구경하는 짚신을 신은 노인

 

120942921_3794ec2c16_z.jpg
연합군 환영 가두행진하는 보이스카웃과 구경하는 시민들

 

122211766_924f6eb17b_z.jpg

짚신 신은 촌노 

 

강원도 동해안에서 찍은 사진에서 보이는 노인은 눈길에서 비록 집신을 신고, 기운 두루마기를 입었으나, 눈에서 발산하는 무서운 눈빛은 누구도 범접할 수 없는 위엄을 보이며, 일제의 압제에도 끄떡없이 버터낸 무서운 저항력을 간직한 기가 느껴진다.
123409294_d9124dae75_z.jpg
서울의 시장 풍경

 

135088462_a73ed4392e_z.jpg
                             하지 중장과 통역자

 

집회에서 통역을 하모습. 그 당시 미국 유학을 다녀온 저명 인사인 것 같다. 하지 장군이 남긴 일화가 있다. 그 내용은 한국에 식량이 부족하다는 보고를 받자
계란을 먹으면 되지 않느냐는 말로 현실을 모른 걸 오랫동안 한국 사회에 회자되였다.
136090447_f9216ee398_z.jpg
나뭇짐을 지고 눈길을 걷는 농부

 

136640677_9ec40eb2c2_z.jpg
     한국 철도 종사자들 교육용 자료를 만들기 위해 한강 철교를 촬영하는 사진작가

 

457868028_72fe1d590c_z.jpg
물통을 머리에 이고 가는 여인.
한국 어머니의 당당한 모습. 한국 어머니는 어떤 역경도 이겨내는 사랑이 느껴진다. 당시는 무명 옷 한 벌로 1년을 지냈다.

 

 
458207823_a1e387dc59_z.jpg
만 4년간 남태평양에서 운행했든 고물이 되여가는 C47 미군 수송기.
화물과 승객을 동시에 수송하는 화물기는 한국에서 미군의 수송 업무를 담당하였다.
458677616_a0d5eeb34f_z.jpg
젊은 어머니와 자식

 

460571112_293e5882f6_z.jpg
부산-서울간 운행하던 객차 (화물 칸을 개조해 승객 운송)

 

466122509_6736391525_z.jpg
어린 나무만 선 풍경

 

481340799_a6339de72c_z.jpg
사과를 승객들에게 파는 상인

 

483784259_bb2b8835aa_z.jpg
일본에서 귀국한 할머니와 손주

 

2227910275_310494966f_z.jpg
일본에서 귀국한 가족
968343944_be9d42f33e_z.jpg
절구질하는 소녀

 

1483164198_2c20ce1d47_z.jpg
똥짱군을 이용해 밭에 인분을 뿌리는 농부.
 
114377539_1983ab5221_z.jpg
사진작가의 짚자를 타고 있는 농부

 

1525759209_bec3df646d_z.jpg
                  연합군 환영 현수막 걸린 건물 앞을 유유히 지나는 마차
              광복 후의 서울은 현재와 달리 일본 처럼 차량은 왼쪽 통행이었다.

 

1531948829_e40d32cf03_z.jpg
갈쿠리로 검불 나무를 해서 지고오는 젊은 여자
 
2072133638_adc2fa0485_z.jpg
널뛰는 소녀들

 

2126398695_7165f68753_z.jpg
개털 목도리를 한 노신사
일제는 만주지방에 주둔한 왜병들의 겨울철 옷을 만들기 위해 돌아다니는 길개를 잡을 수 있는 권한을 많은 사람들에게 주었다.이들은 전국을 돌아다니며 개를 잡아 고기는 먹거나 팔고 가죽은 일본 정부에 바쳤다. 개털이나 가죽으로 만든 겨울 목도리는 6.25 전쟁 중에도 주로 만주지방에서 내려온 동포들이 많이 사용했다.
2232960445_574e9b74f5_z.jpg
한국 언론 사진 가지들
2297101416_af2d9c5509_z.jpg
신탁통치 반대 격문

 

2298724540_77e0998418_z.jpg
성조기를 든 미군 환영 행사장 

 

2380425989_83351bff8f.jpg
축구 선수들

 

2401997704_795346e9a9_z.jpg
행사장을 경비 하는 미군

 

2407036001_289aea5716_z.jpg
남대문과 전차

 

117844255_d66cd80551_z.jpg
서울의 홍등가.
     영어로 미군의 출입을 금지하는 팻말이 붙어있고 뒷쪽에 미군 헌병도 보인다.
2415540307_47262b39f6_z.jpg
조랑말이 끄는 마차와 마부

 

2476232339_d293638416_z.jpg
당시 택시인 인력거
서울 어디에서나 볼 수 있었든 인력거, 6.25 전쟁수복 후 돌아오니 자취도 없이 사라졌다.

 

2486043875_25bd93be91_z.jpg
보이 스카웃 대원

 

4791613758_801a974de1_z.jpg
서울 시내 모습, 전 중앙청 건물만 우뚝할 뿐이다.

 

 
2492421976_98e3f49506_z.jpg
잘 사는 집 가정 주부
2520887087_953bc1f442.jpg
일본으로 돌아가는 일본인 가족.

 

2522432574_1bdb535cea_z.jpg
과일을 팔고 있는 아낙들

 

2575393942_f462865cae_z.jpg
경복궁 경회루 지붕 위의 잡초
           일제는 조선인들만 고통준 게 아니고 문화재까자 돌보지 않았다.

 

 

2688824661_e7020cc5bd_z.jpg
시가 행진.

 

대한민국 임시정부 만세란 간판이 보인다. 

 

2738384858_e457648bb5_z.jpg
일본인들이 두고간 적산 가옥에 살고 있는 사람들 

 

2744445781_fabe319985_z.jpg
당시 연예인

 

2978625286_29891a9e0d_z.jpg
당시 연예인

 

3251929484_856a27766c_z.jpg
창덕궁 비원

 

3345647736_ed3a9802e8_z.jpg
음식을 먹고 있는 두여인

 

3435760811_0d52637daf_z.jpg
젊은 모자
3463754418_62e8c70222_z.jpg
연예인

 

3539982370_ddd70df4d8_z.jpg
새로 조직한 국방 경비대

 

4216017315_544f53207c_z.jpg
인천에 서있는 증기 기관차

 

4233473301_7f264fd428_z.jpg
철도 전복 사고 현장

 

4254560499_582d578833_z.jpg
화재가 발생한 서울의 한 건물

 

4279469094_65cea2523f_z.jpg
일본 군대가 남긴 낙하산을 점검해 보는 사진작가

 

4325182337_75d4c7509d_z.jpg
시가행진을 구경하는 시민들

 

4325331819_b15047fba2_z.jpg
동대문 근처 건물과 전차

 

4484318764_ecc27e66e2_z.jpg
시내 전차
4793798426_9714de0a9d_z.jpg
물깃는 모습

 

4795065618_2f629b2c76_z.jpg
각반을 찬 패잔 일본군 아버지와 아들.
4909786983_1ca28c05d7_b.jpg

김포비행장에 줄줄이 서 있는 일본군 전투기 

일본군의 무장 해재하면서 미군이 접수한 군수품 중 일본군의 99식 소총은 회수해서 한국 국방 경비대가 사용했으나 그외 군수품의 행방은 어떤 기록에서도 찾아 볼수가 없다.

연합군이 Code Name Sonia로 불렀던 전투기들은 Mitubishi K1-51 Type99 기종이다.

20여대로 보이는 이 전투기들은 건국후 들여온 10대의 연습기 창랑호 보다 백 배나 전투력을 갖춘 기종이다.이 전투기들 다 어디갔지?. 진주한 미군은 일본 열도와 한국내에 남은 일본군의 모든 전투기나 탱크와 각종 무기는 모조리 잘라내거나 아니면 불도저로 깔아뭉개 고철로 만들어 한 대도 남기지 않았다. 2차대전 후 나치 독일이 남긴 무기도 같은 운명에 처해졌다.
살아남은 장비는 미군이 연구용으로 선택된 몇 개의 무기는 예외였다. 

 

4806444444_4d0860f0df_z.jpg
동대문 밖으로 보이는 사진

 

4854993698_8a0dc1f110_z.jpg
열차 사고

 

4897349703_e7689d5d6a_z.jpg
삼척에 있는 한 탄광
 
4930655652_7d0b615cc4_z.jpg
미군이 접수한 마약.
      아편 등 마약은 일본이 한국인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했다는 증거물이다 

 

 
5155213289_f013d70d67_z.jpg
한국 사진사들과 작가

 

5405163272_8ac613eae8_z.jpg
일본군 각반 차고 도끼질하는 이 남자는 일본군에 징집되였다가
고향으로 돌아온 젊은이일지도 모른다.

 

5449323390_73fe55c3ce_z.jpg
나뭇짐 진 노인
135657215_04a9996579.jpg

남산의 일본 신사 입구  

 
남산에 세워진 신사 앞에 서 있는 미군과 미군의 짚차 모습에서 조선이 해방 되였다는 사실을 읽을수 있고, 소녀가 신고 있는 게다짝과 신사의 생생한 모습에서 일본이 남긴 잔재가 무엇인지를 읽을 수가 있다. 사진의 신사가 있던 대지는 현재 도서관과 공연장으로 변했다.
원래 남산에는 두 개의 신사가 있었다고 한다. 이 사진에 보이는 남산 위 신사와 현 동국대 근처에 또 다른 신사가 있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