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만남 3/좋은자료실

신위와 지방쓰는 법

황와 2010. 7. 23. 01:01

신위(神位)와 지방(紙榜) 쓰는 법


 신위(神位)

 

 신위(神位)라 함은 고인의 영혼 즉 신을 모시는 곳을 말하는데 종래에는 지방으로 모셨으나

 지금은 많은 가정에서 영정(사진 또는 초상화)을 모시고 지내고 있다. 

 기제사의 본 뜻이 고인의 별세한 날을 추모하는 의식이라고 하였으니 그 추모하는 정을 제대로 고취시키려면

 고인의 생전 모습이 그대로 나타난 사진을 모시는 것이 예법(禮法)에 없다고 하여 탓할 것은 아니다. 

 그러니 별세하신지 오래되어 사진이 없을 경우에는 지방을 쓰겠지만 생전에 사진 한 장씩은 꼭 찍어 두었다가

 별세한 뒤에 상례의 영좌나 제사의 신위로 모시도록 하였으면 한다. 

 옛날에는 중국에서 들어온 철저한 유교 의식에 따라서 위호(衛護)라고 하여 사대부가(士大夫家)에서는 집집마다 사당(祠堂)을 짓고

 역대 조상들의 신주를 모시고 수많은 제사를 지내야 하였으나 지금은 세상살이가 많이 달라졌으니 세속을 따르는 것도 좋겠다.

 종이에 쓴 지방보다는 사진이 훨씬 더 실감나고 그리움도 솟지 않겠는가.


 지방(紙榜)

 

 제사 지낼 때에는 지방을 쓰는데. 제사 대상자를 상징하는 것으로 신주 대신으로 사용하였으며

 제사 직전에 만들었다가 제사를 마치면 소각한다.

 내용은 제사를 모시는 사람과 조상과의 친속 관계, 조상의 관직(여성은 봉호), 시호(여성은 성씨)등을 나타낸다.

 지방은 고인의 신위 표시를 말하는 것으로서 사당에 신주를 모시는 분은 지방이 필요 없지만

 보통은 흰 종이 위에 작고하신 분의 호칭과 관직을 먹으로 정성껏 써서 교의 또는 제상(祭床) 정후면(正後面) 병풍에 붙인다.

 지방 길이는 주척(周尺)으로 일척 이촌(一尺 二寸) 폭이 삼촌(三寸)인바

 주척 일척(周尺 一尺)은 현재 미터법으로 약 20cm에 해당하니까 길이가 22cm 폭이 6cm 정도이다,

 직사각형으로 절단하여 위쪽을 둥글게 오려서 사용하기도 한다.

 위를 둥글게 하고 아래 쪽을 평평하게 하는 까닭은 천원 지방(天圓 地方 둥근 하늘과 평평한 땅)을 상징한 것이다.

 한 장의 지방에 남, 여 조상 두 분의 신위를 쓸 때는 중앙을 기준으로 왼쪽은 남자 조상을 쓰고,

 오른쪽은 여자 조상을 쓰며 세로 쓰기를 한다.

 만약 여자 조상이 두 분 이상이면 남자 조상의 바로 오른쪽에서부터 계속 쓰는데 첫 부인부터 차례로 왼쪽부터 오른쪽 순으로 쓴다. 

 

 지방(紙榜)쓰는 방식은 아래와 같다. 예는 가로쓰기를 세로쓰기로 바꾸면 된다. 

 

 

 [지방의 내용과 작성법]

 

남자조상(한문)

 

지방의 구성 : 현(顯) + 모시는 조상 + 조상의 관직 + 조상의 이름 + 조상의 자리 순으로 구성.

 의미는 어떤 이름의 어떤 벼슬을 지낸 몇 대 조상의 자리란 뜻.

 

   한자  顯考學生府君 神位

    음    현고 학생부군  신위

 

[의미]

顯    존경의 의미

考    돌아가신 아버지를 의미

學生 관직이 없는 경우, 과거시험 준비 중인 예비 관원을 의미

處士 관직 없어도 덕망 높고 배움 많은 인사 

官職 관직이 있는 경우 그 관직을 쓴다, ( 장관, 국회의원, 교장, 사무관 등) 

府君 제사대상이 자신의 윗사람인 경우

이름 제사대상이 자신의 아랫사람인 경우 (동생, 자식일 경우 이름 명기)  

神位 조상의 자리

 

[작성법]

 아버지          顯考

 할아버지       顯祖考

 증조할아버지 顯曾祖考

 고조할아버지 顯高祖考

 벼슬이 없는 경우 學生

 동래부사인 경우 東萊府使

 국회의원인 경우 國會議員

 

 

[여자 조상(한문)]

 

지방의 구성 : 현(顯) +모시는 조상 + 남편의 벼슬에 따른 봉작 + 성씨 + 조상의 자리 순으로 구성.

의미는 어떤 성씨의 어떤 여성지위의 몇 대 조상의 자리란 뜻.

 

한자 :  顯妣孺人密陽朴氏 神位

  음  :  현비유인 밀양박씨  신위

 

[의미]

顯    존경의 의미

妣    돌아가신 어머니를 의미한다. 

孺人 일정한 봉작이 없는 경우

封爵 봉작이 있으면 봉작을 쓴다.( 좋은 자료실 내외명부표 참조, 예)정부인, 숙인 등 ) 

       부인이 두 분 이상인 경우 구분하기 위함.

神位 조상의 자리

 

[작성법]

어머니      顯

할머니      顯祖

증조할머니 顯曾祖

고조할머니 顯高祖

봉작이 없으면 孺人

정경부인 경우 貞敬夫人

국회의원 경우 國會議員

본관 + 성씨

 

 

    [한자 지방] (벼슬이 없는 경우)

 

고조부모 

顯高祖考學生(處士)府君 神位

顯高祖妣孺人金海金氏   神位


증조부모 

顯曾祖考學生(處士)府君 神位

顯曾祖妣孺人東萊鄭氏   神位


조부모 

顯祖考學生府君         神位

顯祖妣孺人全州李氏   神位


부모 

顯考學生府君       神位

顯妣孺人密陽朴氏 神位


顯兄學生府君          神位

顯兄嫂孺人密陽朴氏 神位


故(亡)弟學生(吉童) 神位

 

 

백부모 

顯伯父學生府君       神位

顯伯母孺人密陽朴氏 神位


숙부모 

顯叔父學生府君       神位

顯叔母孺人密陽朴氏 神位


처 

故(亡)室孺人密陽朴氏 神位

 

 

남편

顯辟學生府君  神位


자식(아들(딸)) 

(亡)子(女)秀才(學生)(吉童)(之靈) 神位

 

 

    [한자 지방 (벼슬을 지낸 경우)]

 

고조부모 

顯高祖考資憲大夫吏曹判書府君 神位

顯高祖妣貞夫人全州李氏          神位

 

증조부모 

顯曾祖考資憲大夫吏曹判書府君 神位

顯曾祖妣貞夫人東萊鄭氏          神位

顯曾祖考通政大夫成均館大司成府君 神位

顯曾祖妣淑夫人東萊鄭氏               神位

 

선조부모 

顯十代祖考資憲大夫吏曹判書府君 神位

顯十代祖妣貞夫人全州李氏          神位

顯五代祖考通訓大夫行果川縣監府君 神位

顯五代祖妣淑人全州李氏               神位


부모 

顯考國會議員府君  神位

顯妣孺人密陽朴氏  神位


남편

顯辟校長府君  神位

 

故(亡)室孺人密陽朴氏  神位

 

   [한글 지방]


요즘은 한글로 지방이나 축문을 쓰는 가정도 적지 않다.

한글로 쓸 경우에는 한자 문구를 그냥 한글로 표기하기도 하고 그 뜻을 풀이하여 쓰기도 한다.

 

부모

현고학생부군       신위

현비유인김해김씨 신위

 

높으신 아버님  신위

높으신 어머님  신위

 

아    버    님   신위

어    머    님   신위

 

남편

부       군       신위

 

아내

망실전주이씨   신위

 

 사후(死後)에는 서고동고(西高東皐)라 왼편(左便)에 고위(考位 남 男) 오른편(右便)에 비위(位 여 女)를 쓴다.

 고(考)는 부(父)와 같은 뜻으로 생시(生時)에는 부(父), 사후(死後)에는 고(考), 사당(祠堂)에 모실 때는「이()」라 하며

 비()는 모(母)와 같이 생시(生時)에는 모(母). 사후(死後)에는 비()라한다.

 고인(故人)에 관작(官爵)이 있으면「학생(學生)」 대신(代身)에 관작(官爵)을 쓰고 부인(夫人)의 호칭(呼稱)도 달라진다.

 그러나 지금과 같은 민주사회에서는 맞지 않으므로 각자의 재량에 맡길 수 밖에 없다.

 처 제사(妻祭)에는 자식(子息)이 있어도 남편(부 夫)이 제주(祭主)가 된다.

 

  지방(세로).hwp


(강3)지방쓰는 법.hwp


 


큰집지방.hwp
0.03MB
제사축문(세로).hwp
0.1MB
지방(세로).hwp
0.04MB
(강3)지방쓰는 법.hwp
0.02MB

'건강한 만남 3 > 좋은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사 지내는 순서  (0) 2010.07.23
축문 쓰는 법  (0) 2010.07.23
제수 진설법  (0) 2010.07.23
제사음식 만들기  (0) 2010.07.23
제사의 종류  (0) 2010.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