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탑동[塔洞]의 나정[蘿井]에서 동편에 위치하고 있으며 신라 6부촌장의 위패를 모시고
제향을 받드는 사당으로 1970년에 건립되었다.
6부촌장은 신라가 건국되기 전 진한[辰韓]땅에
알천 양산촌. 돌산 고허촌. 취산 진지촌. 무산 대수촌. 금산 가리촌. 명활산 고야촌 등으로 여섯 촌을 나누어 부족사회를 이루었다.
오랜 옛날 기원전 57년 알천 언덕에 6부 촌장들이 모여 12년전[기원전 69년] 나정에서 탄생한 박혁거세를 촌장들의 회의로 고허촌장인 소벌도리공께서 추대하여 신라에 초대 임금이 되게하니 이때가 신라건국의 원년이다.
그 후 신라 시조왕의 손자인 유리왕[신라제 3대왕]이 6부 촌장들에게 신라건국의 공로를 영원히 기리기 위하여 6부의 이름을 고치고 각기 성[姓]을 내렸다는 기록이 전하는데 양산촌장, 고허촌장, 대수촌장, 진지촌장, 가리촌장, 고야촌장 등으로 성씨를 하사 하였다고 한다.
이곳에서 매년 6성의 후손들을 비롯하여 많은 참배원이 모여 존엄하신 선조들의 덕업을 기리는 제향을 받들고 있다.
▶신라개국 좌명공신 육부촌장 [新羅開國 佐命功臣 六部村長]
[1] 알천 양산촌[謁川 楊山村] 이알평[李謁平] 경주이씨[慶州李氏]로
[2] 돌산 고허촌[突山 高墟村] 최소벌도리[崔蘇伐都利] 경주최씨[慶州崔氏]로
[3] 무산 대수촌[茂山 大樹村] 손구례[孫俱禮] 경주손씨[慶州孫氏]로
[4] 취산 진지촌[嘴山 珍支村] 정지백호[鄭智伯虎] 경주정씨[慶州鄭氏]로
[5] 금산 가리촌[金山 加利村] 배지타[裵知타] 경주배씨[慶州裵氏]로
[6] 명활산 고야촌[明活山 高耶村] 설호진[薛虎珍] 경주설씨[慶州薛氏]로
서원전[西元前] 57년 한선제 오봉 원년 갑자[漢宣帝五鳳元年甲子] 4월 병진일[丙辰日]에 육부 촌장이
박혁거세를 시조왕으로 옹립[雍立]하고 육부 촌장이 모두 좌명공신이 되었다.
유리왕 9년에 좌명공신 육부 촌장에게 사성[賜姓]을 내리셨다.
좌명공신 육부촌장의 신위를 모신 사당 양산재 [祠堂 楊山齋]는 매년[每年] 음 8월 16일 경주시장[慶州市長]의 주관[主管]으로 향사[享祀]를 봉행[奉行]한다.
거장보 역문[擧章譜 譯文]
시조왕 51년 9월에 좌명공신[佐命功臣]인 육부촌장[六部村長]과 개국공신[開國功臣] 28인과 함께 거장전[擧章殿]에서 만복연[萬福宴]을 연 사실[事實]을 기록하여 전하게 하고 거장보[擧章譜]라 이름하다.
▶개국공신[開國功臣] 28인
백선장[白善長] : 벼슬은 태평대위[太平大位]니 변한[弁韓]을 항복하게 한 功이 있다.
조공흠[趙公欽] : 벼슬은 도정사[都正事]니 변한[弁韓]을 항복하게 한 공이 있다.
고영시[高寧是] : 벼슬은 평중랑[平中郞]이니 변한[弁韓]을 항복하게 한 공이 있다.
지충강[池忠江] : 벼슬은 평장사[平長事] 옥저[沃沮]로 하여금 말을 헌상케 한 공이 있다.
조익관[趙益寬] : 벼슬은 대사도[大司徒] 옥저로 하여금 말을 헌상케 한 공이 있다.
추자평[秋子平] : 벼슬은 대사도[大司徒] 옥저로 하여금 말을 헌상케 한 공이 있다.
김관령[金寬齡] : 벼슬은 대사도[大司徒] 옥저로 하여금 말을 헌상케 한 공이 있다.
임의신[任儀信] : 벼슬은 도정훈[都正勳] 옥저로 하여금 말을 헌상케 한 공이 있다.
이두창[李頭昌] : 벼슬은 우장군[右將君] 옥저로 하여금 말을 헌상케 한 공이 있다.
조대정[趙大正] : 벼슬은 우장사[右將司] 옥저로 하여금 말을 헌상케 한 공이 있다.
양지백[梁之白] : 벼슬 전력부총[展力副摠] 옥저로 하여금 말을 헌상케 한 공이 있다.
강이태[康二太] : 벼슬은 대사도[大司徒] 일본병이 왕의 덕을 듣고 돌아가게 한 공이 있다.
임동방[林동芳] : 벼슬은 국자대의[國子大宜] 일본병이 왕의 덕을 듣고 돌아가게 한 공이 있다.
정선엽[丁善燁] : 벼슬은 상장군[上將軍] 일본병이 왕의 덕을 듣고 돌아 가게 한 공이 있다.
정지석[鄭之碩] : 벼슬은 교위대시[校尉大寺] 고주몽[高朱蒙]을 화친[和親]하게 한 공이 있다.
이형익[李衡翊] : 벼슬은 전력도정[展力都政] 고주몽을 화친하게 한 공이 있다.
신초시[申初是] : 벼슬은 전력장군[展力將軍] 고주몽을 화친하게 한 공이 있다.
양선태[梁善泰] : 벼슬은 정남장군[征南將軍] 고주몽을 화친하게 한 공이 있다.
홍 식[洪 息] : 벼슬은 어복사[御僕射] 고주몽을 화친하게 한 공이 있다.
한영구[韓寧龜] : 벼슬은 어복대사[御僕大司] 고주몽을 화친하게 한 공이 있다.
'건강한 만남 3 > 좋은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의 통치기구 (0) | 2015.06.29 |
---|---|
조선중기 사림파 김종직의 평가와 학맥 (0) | 2015.06.28 |
이런 향약 어디에 또 있을까요. (0) | 2015.06.11 |
대한민국 건국사/ 8.15 정부수립 행사 (0) | 2015.03.15 |
심장 쇼크가 오면 기침을 자꾸 하세요. (0) | 2015.03.14 |